아이폰 14 에 대한 전망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여기서는 아이폰 14 출시일 디자인 스펙 가격 루머 등 현재까지 나와 있는 아이폰 14 시리즈에 대한 유출 정보들과 다양한 루머들을 모아 정리해보았습니다.
목차
아이폰 14 시리즈 출시일
아이폰 14 시리즈 출시일은 2022년 가을 이벤트를 통해 공개 후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이폰 출시일은 거의 고정적으로 매년 9월에 열리는 애플의 가을 이벤트를 통해 공개됐습니다. 2020년에 출시된 아이폰 12의 경우만 코로나 19로 인해 출시가 약 한 달 정도 지연된 바 있습니다.
이번 아이폰 14 시리즈 역시 큰 문제가 없는 이상 2022년 9월 경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역대 아이폰 출시일 정리>
- 아이폰 11 : 2019년 9월 2일(금)
- 아이폰 12 : 2020년 10월 23일(금)
- 아이폰 13 : 2021년 9월 24일(금)
- 아이폰 14 : 2022년 9월 23일(금) 예상
아이폰 14 VS 아이폰 13과 비교(예상)
아이폰 14 달라지는 점
- 미니 대신 맥스로 라인업 변화
- 프로 모델에 노치 없애고 펀치홀 디스플레이 적용
- 티타늄 소재 적용될 수도
- 프로 모델에만 A16 칩 탑재
- 모든 모델에 6GB 램 적용
- 카메라 배터리 성능 개선
- USB-C 포트 탑재
- 일반 모델 외 나머지 모델 가격 100달러 인상
아이폰 14 라인업
새 아이폰 시리즈에서는 라인업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현재 아이폰 13 시리즈의 라인업은 5.4인치 아이폰 13 미니, 6.1인치 아이폰 13 일반과 프로, 6.7인치 아이폰 13 프로맥스 4가지로 출시됐습니다.
하지만 밍치궈에 따르면 올해 출시되는 아이폰 14 시리즈에서는 5.4인치 미니 라인업을 없애고 대신 아이폰 맥스 라인업이 추가될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아이폰 14 시리즈 라인업은 이제 아이폰 14, 아이폰 14 맥스, 아이폰 14 프로, 아이폰 14 프로맥스 4가지로 구성됩니다.
이중 아이폰 14 맥스는 프로맥스와 동일한 6.7인치 화면 사이즈를 가지게 되고 나머지 모델들은 기존과 같은 화면 사이즈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아이폰 14 시리즈 라인업(13 시리즈와 비교)>
모델 | 화면크기 | 모델 | 화면크기 |
아이폰 14 | 6.1인치 | 아이폰 13 | 6.1인치 |
아이폰 14 맥스 | 6.7인치 | 아이폰 13 미니 | 5.4인치 |
아이폰 14 프로 | 6.1인치 | 아이폰 13 프로 | 6.1인치 |
아이폰 14 프로맥스 | 6.7인치 | 아이폰 13 프로맥스 | 6.7인치 |
아이폰 13 시리즈 출시 전에도 미니 라인업이 없어질 것이란 루머가 많았습니다.
아이폰 미니가 처음 나왔을 때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던 것에 비해 이후 미니를 찾는 사람들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상했던 것과 달리 지난해 아이폰 13 시리즈에서는 미니 라인업이 포함됐습니다.
만약 이번 아이폰 14 시리즈에서 미니 라인업이 없어지게 되면 아이폰 13 미니가 아이폰의 마지막 미니 모델로 남게 됩니다.
아이폰 14 노치와 펀치홀 디스플레이
노치 없애고 펀치홀 디스플레이 적용
아이폰 14 시리즈 중 일부 모델에서 기존의 노치가 없어지고 대신 펀치홀 디자인이 채택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9일(현지시간) 폰아레나 등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출시하는 아이폰 14 시리즈 중 상위 모델에 노치 디자인을 없애고 펀치홀 디자인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노치는 상단 일부를 비워 카메라를 배치한 디자인으로, 일명 M자 탈모라고도 불리는데, 애플은 2017년 출시한 아이폰 X부터 지난해 아이폰 13까지 4년 연속 이 노치 디자인을 사용했습니다.
앞서 아이폰 13 시리즈 출시 전 존 프로서가 올린 아이폰 14 렌더링 영상에서 노치 대신 펀치홀이 들어간 아이폰의 모습이 등장해 큰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애플은 결국 아이폰 13 시리즈에서 노치를 없애지 못하고, 다만 전면 카메라 시스템을 재설계, 노치 부분을 기존보다 약 20% 정도 줄이는데 그쳤습니다.
하지만 아이폰 14의 OLED 공급업체가 삼성디스플레이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애플도 일부 라인업의 노치 디자인을 포기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샘모바일은 “소문에 의하면 삼성이 내년 아이폰에 적용할 OLED패널을 만들 제조 장비를 마련했다. 내년 아이폰에는 (노치 대신) 펀치홀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존 프로서 역시 아이폰 14에서는 일반 모델은 여전히 노치가 들어가고 프로 모델은 펀치홀 카메라가 들어갈 거라고 언급했고, 또한 로스 영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아이폰14 시리즈 중 프로 라인업인 아이폰 14 프로와 프로맥스에서 노치를 없애고 펀치홀 디자인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까지 UDC(Under Display Camera)는 평소 카메라 구멍이 보이지 않아 화면이 깔끔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화질이 많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기에 애플이 펀치홀을 선택을 한 것은 잘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반 모델의 경우 노치가 그대로 유지되는 점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 될 것 같습니다.
펀치홀 디스플레이가 적용이 된다면 카메라 구멍을 제외한 전면이 모두 디스플레이라 풀스크린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 영상 콘텐츠를 볼 때 더 이상 잘리지 않고 전체 화면으로 볼 수 있고, 거기에 배터리 잔량 표시도 지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 14 모든 모델에 페이스 아이디 탑재
결국 올해 출시되는 새 아이폰 시리즈에는 전 모델에 페이스 아이디가 적용되는 것인데요, 대신 터치 아이디는 들어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DSCC CEO 및 디스플레이 전문가 로스 영은 아이폰14 모델에 대해 “올해 터치 아이디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밍치궈가 애플이 언더 디스플레이 터치ID 구현에 있어 더딘 진전을 맞이했으며 2023년과 2024년 일정이 더 유력하다고 밝힌 것과도 일치합니다.
결국 2023년 이후에야 터치ID가 부활할 것이라는 전망인 것인데, 디스플레이에 관한한 정확도가 높은 로스영 또한 같은 전망을 내놓았기에 거의 확실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 코로나19로 마스크를 써야하는 상황에서 페이스 아이디 기능은 반쪽짜리가 됐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IOS 15.4 업데이트가 나오면서 마스크나 안경을 쓰고도 페이스 아이디가 쉽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우선 터치ID가 없어도 불편함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 14 디자인과 소재
아이폰 14 예상 디자인
아이폰 14 시리즈는 새로운 디자인을 가지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IT 전문매체 91모바일은 지난 3월 16일(현지시각) 유출되니 캐드 도면을 기반으로 제작한 아이폰14 프로 렌더링을 공개했습니다.
렌더링 속 아이폰14 프로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베젤(테두리)이 더 줄어들어 세련된 느낌을 주며 전면의 노치가 사라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신 타원형 펀치홀 2개가 전면부 상단에 배치됐습니다. 펀치홀에는 전면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 얼굴인식 기능인 페이스ID 등이 장착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14 프로의 펀치홀 적용이 현실화한다면 5년 만에 디자인이 변경되는 셈입니다. 다만 이런 펀치홀 디자인은 고급형 모델인 프로 라인에만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3월 22일) 공개된 아이폰14 도면에 따르면 아이폰14 프로 모델의 후면 카메라 모듈은 더 커지고 기기 두께도 더 두꺼워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아이폰14 프로맥스의 가로 너비는 77.58mm로, 아이폰13 프로 맥스(78.1mm)보다 약간 작으며 높이 값은 전작과 거의 동일합니다.
하지만 아이폰14 프로 맥스의 두께는 7.85mm로, 아이폰13 프로의 두께 7.65mm보다 더 두꺼워졌습니다.
또 아이폰14 프로 맥스의 뒷면 카메라 두께는 4.17mm로, 전작의 3.6mm보다 더 두꺼워질 예정입니다.
뒷면 카메라 모듈 크기도 현재 너비 35.01mm에서 36.73mm, 높이 36.24mm에서 38.21mm로 약 5%씩 증가할 전망입니다.
앞서 지난해 9월에 공개된 존 프로서의 렌더링에서는 아이폰 14 프로맥스의 경우 기존에 있던 후면 카메라 섬은 없어지고 카툭튀가 없는 매끈한 모습이었습니다.
기존과는 달리 옆면 프레임 위에 샌드위치처럼 후면 유리가 붙어 있어서 카툭튀가 사라지게 된 것인데, 이런 디자인은 예전 아이폰 4에서도 본 적이 있는 디자인이었습니다.
또한 존 프로서는 아이폰14 측면 음량 버튼도 원형으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도면을 보면, 존 프로서가 전망한 두 디자인 요소 중 어느 하나도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이폰 14 티타늄 소재 적용될 수도
이번 아이폰 14 시리즈에서 가장 기대가 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티타늄 소재입니다.
이건 기존에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조금 더 가볍고 내구도도 더 좋기 때문에 아이폰을 좀 더 가볍게 만들어 줄 수가 있습니다.
티타늄은 기존에 애플워치에 들어간 적은 있었지만 아직까지 아이폰에 적용된 적은 없었습니다. 이게 만약 들어가게 된다면 프로 모델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구도나 무게 말고도 또 한가지의 장점이 있습니다.
바로 지문인데, 현재 프로에 들어간 스테인리스 스틸은 굉장히 지문이 잘 묻습니다. 이와 반대로 티타늄은 지문이 잘 찍히지 않습니다.
한 가지 우려가 되는 점은 바로 가격입니다. 애플워치 티타늄의 가격이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스보다 높았듯이 아이폰도 티타늄이 들어간 모델이 가격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아이폰14 일반 모델은 알루미늄 소재가, 아이폰 14프로 모델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가 적용될 전망입니다.
그러기에 만약 이 티타늄 모델이 나온다고 해도 추가 옵션으로 나오고 가격도 별도로 높은 가격이 책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폰 14 카메라
아이폰 13까지 카메라 화소
애플의 아이폰은 지난 몇 년간 1200만 화소를 계속해서 유지해 왔습니다.
다른 회사들, 예를 들면 삼성 같은 경우는 1억 화소가 넘는 카메라들이 들어갔고, 또한 중국 회사들도 6000만 화소가 적용되는 등 변화를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애플은 심지어 가장 최신 제품인 아이폰13에도 1200만 화소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물론 스펙상 화소가 낮다고 해서 카메라 퀄리티가 떨어지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아이폰이 높은 화소를 자랑하는 다른 스마트폰들 보다도 더 높은 퀄리티의 영상과 저조도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화소수를 그대로 유지했지만 픽셀의 크기를 늘리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런 것들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 아이폰 14에서는 애플이 카메라에 좀 더 큰 변화를 준다고 합니다.
아이폰 14 카메라 화소 변화
밍치궈에 따르면 후면 카메라는 1200만 화소에서 4배 늘어난 4800만 화소로 변경 될 거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픽셀비닝 기술이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건 여러 개의 화소를 하나의 화소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식인데,이렇게 되면 픽셀당 빛을 받아들이는 면적이 커지면서 감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사실 아이폰의 카메라는 현재도 굉장히 좋은 카메라라고 평가를 받고 있는데, 여기에 이런 픽셀비닝 기술이 들어가게 되면 굉장히 좋은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높은 화소의 카메라가 들어가게 되면서 8K 영상 촬영도 가능해질 전망이고, 픽셀의 크기 또한 아이폰 14에서는 2.5 마이크로미터로 증가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픽셀 크기는 현재 나와있는 아이폰 13이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 보다도 큰 것으로, 거의 디지털스틸 카메라에 근접한 크기라고 합니다.
이러한 전망들을 통해서 내년에 나올 아이폰 14의 카메라는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레벨의 카메라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아이폰 14 칩셋 성능
프로세서(AP)
애플은 매년 새로운 칩셋을 아이폰에 탑재해 왔습니다. 새 아이폰 시리즈에 들어갈 칩셋은 A16 바이오닉 칩셋입니다.
하지만 애플은 아이폰 14 일반 모델에 기존 A15칩을 탑재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만, 애플은 이 칩의 명칭을 A16 칩으로 부르고, 아이폰 14 프로 모델에 탑재되는 새로운 칩을 A16 프로 칩으로 부르게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애플이 아이폰 14 일반 모델에 작년 A15 칩을 탑재하는 이유는 전 세계에 불어 닥친 반도체 부족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현재 애플은 A16 칩과 M2 칩 제조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 중 우선순위를 M2 칩에 두고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결정은 A16칩 부족으로 전체 아이폰14 생산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때문에 아이폰 14와 아이폰 14 맥스에 기존 A15 칩을 탑재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입니다.
참고로, 아이폰 12에 들어간 A14과 아이폰 13에들어간 A15는 5나노 공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아이폰14 프로 라인업에 들어갈 A16칩은 이보다 발전된 4나노 공정 기반으로 제작된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칩셋 안에 미세 선폭의 길이가 더 작아져서 전력대비 더 높은 성능을 가지게 됩니다.
애플의 칩셋을 생산하는 대만의 파운드리 업체 TSMC에 따르면 이 공정을 N4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TSMC에서는 이를 4나노 공정이 아닌 3번째 세대의 5나노 공정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공정으로 제작되는 A16 칩은 기존 N5 공정보다 약 11% 정도 성능이 향상 되고 전력 효율성은 22% 높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참고로, N5 공정은 첫 번째 5나노 공정으로 제작된 A14칩셋을 말하는 것이고, 아이폰 13의 A15칩셋은 2세대 5나노 공정이라고 볼 수 있는 N5P 제조 공정에서 생산이 되었습니다.
결국 기존 N5 공정보다 약 11% 정도 성능이 향상되고 전력 효율성이 22%가 높아진다는 것은 아이폰 12에 들어간 A14 칩셋을 기준으로 비교한 내용이 됩니다.
그러기에 실질적으로 A15에서 A16의 성능 향상 폭은 기대했던 것보다는 더 작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램(RAM) 저장용량(STORAGE)
아이폰14 시리즈에 들어갈 램 용량에 대해서는 앞서 프로 모델 2종에 8GB 램이 탑재될 것이라는 루머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가장 최근 이번 아이폰14 시리즈에는 4개 모델 모두 6GB 램이 함께 제공될 전망이 나왔습니다.
일반 모델 2종만 4GB에서 6GBGB로 늘어나고 프로 모델 2종은 6GB로 전작과 동일하게 간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아이폰13 시리즈의 경우 전작인 아이폰12시리즈와 동일하게 일반과 미니 모델은 4GB 램을, 프로 모델에는 6GB을 탑재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램 용량만 놓고 본다면 일반 모델과 프로 모델에 차이가 없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어가보면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아이폰14 프로 모델 2종은 LPDDR5 램을 탑재하지만 나머지 아이폰14 일반 모델 2종은 LPDDR 4X 램을 탑재하기 때문입니다.
아이폰 14 포트 외
USB-C 타입 포트 탑재
최근 내년에 나올 아이폰에 USB-C 타입을 채택할 수 있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폰 아레나는 최근 미국 아이드랍 뉴스를 인용해서 애플이 아이폰 14 프로 라인업에 타입 C 포트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를 했습니다.
애플이 라이트닝에서 USB-C로 전환하려는 이유는 USB-C가 더 빠른 전송속도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최근 유럽연합이 모바일 기기 충전방식을 USB-C로 통일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고, 이외 환경문제도 이유가 된다고 합니다.
최근 애플을 비롯해 여러 가지 대형 회사들에서 충전기를 넣지 않는 등 여러 가지 환경에 대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유독 애플은 항상 환경을 굉장히 많이 강조하고 있습니다.
아이폰이 USB-C로 바뀌게 되면 라이트닝 케이블도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충전 어댑터도 케이블 별로 여러 개를 사용하지 않아도 돼서 환경에 도움을 줄 수가 있습니다.
그러기에 환경 보호를 강조하고 있는 애플 입장에서 이런 부분은 간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에 USB-C 타입이 적용되는 것은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바라왔던 것이기 때문에 바뀔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거 같습니다.
그 외 와이파이, 위성통신 등
또한 이외에도 아이폰 14은 와이파이 6E 지원, 그리고 아이폰 13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었던 위성통신 기능들도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아이폰 14 가격
아이폰 14 시리즈의 가격은 전작에 비해 일부 모델에서 인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13 시리즈를 선보이며 2007년 아이폰 첫 출시 이후 처음으로 신형 가격을 동결했습니다.
이에 올해 아이폰 14 시리즈 역시 가격을 동결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밍치궈는 심지어 고급형인 6.7인치 아이폰 14 프로 맥스 모델이 900달러 이하로 사상 최저가로 출시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폰아레나 등 주요 외신들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아이폰14시리즈 예상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14 일반 모델의 가격은 미국기준 799달러(약 95만원)부터로 전작(아이폰13)과 같습니다.
반면, 아이폰14맥스 899달러, 아이폰14프로 1099달러, 아이폰14프로맥스 1199달러 등 3가지 모델은 전작 대비 약 100달러 인상됩니다.
참고로, 전작인 아이폰13프로와 아이폰13프로맥스 출고가는 각각 999달러, 1099달러였습니다.
가장 작고 저렴한 미니가 빠지며 시리즈 시작 가격이 799달러가 됐습니다. 전작 아이폰13미니 가격은 699달러부터였습니다.
아이폰14의 경우 전작과 가격이 동일한 이유는 애플이 이번 아이폰14와 아이폰14 맥스에 새로운 칩 대신 기존 A15칩을 탑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고급형 프로 모델의 가격이 오르는 이유로는 펀치홀 도입 등 디자인 변경, 프로세서, 카메라 업그레이드 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는 전작인 아이폰 13 시리즈 국내 기준 가격입니다.
모델 | 가격 | 모델 | 가격(예상) |
아이폰13 | 109만원(128GB) 123만원(256GB) 150만원(512GB) | 아이폰14 | 109만원(128GB)? |
아이폰13미니 | 95만원(128GB) 109만원(256GB) 136만원(512GB) | 아이폰14맥스 | ? |
아이폰13프로 | 135만원(128GB) 149만원(256GB) 176만원(512GB) | 아이폰14프로 | ? |
아이폰13프로맥스 | 149만원(128GB) 163만원(256GB) 190만원(512GB) | 아이폰14프로맥스 | ? |
아이폰 14 시리즈 한국 가격은 아직 나온 정보가 없습니다.
이제까지 미국 기준 가격에 비해 한국 가격은 훨씬 높은 가격으로 책정되어 왔습니다.
이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면 아이폰13 일반 모델을 제외하고는 최소 일반모델보다 100달러 이상 더 높은 가격으로 책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상해본다면 아이폰14맥스의 시작가는 121만원보다, 프로는 147만원보다, 프로맥스는 161만원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이폰14에 대해서는 아직 출시일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변경되는 내용들도 많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나 추가적인 내용들은 나오는대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애플 제품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세요
추천 글 -> 2022년 애플 제품 공개(출시) 시기 스펙 가격 총정리